본문 바로가기
숲 길

산림치유지도사 도전하기

by 식물탐구 2023. 4. 6.

산림치유지도사란?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하여, 효율적인 산림치유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도하는 전문가입니다.

산림치유지도사는 전국에 조성된 70여 개의 치유의 숲이나, 현재 조성되어 있는 192개의 자연휴양림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산림치유지도사가 되기 위해서는 산림청장이 발급하는 국가자격증이 필요하며, 자격기준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됩니다.  

 

산림치유지도사 자격기준

1급 산림치유지도사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1급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과정을 이수한 경우 가능합니다.

 

1. 2급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산림치유와 관련된 업무에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산림치유관련 업무는 치유의 숲, 국공립 교육시설 또는 산림치유관련 교육기관이나 단체에서 운영하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의 기획/진행/분석/평가 또는 산림치유교육과 관련된 업무를 말합니다.

2. <고등교육법> 제35조에 따라 의료/보건/간호 또는 산림관련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3.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술사 중 산림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2급 산림치유지도사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2급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과정을 이수한 경우 가능합니다.

 

1.<고등교육법> 제35조에 따라 의료/보건/간호 또는 산림관련 학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그에 준하는 학위를 취득한 사람.

2. <고등교육법> 제50조에 따른 의료/보건/간호 또는 산림관련 전문학사학위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그에 준하는 학위를 취득한 후 해당 전공분야에서 2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

3. 산림치유관련 업무에 4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10조제1항에 따른 산림교육전문가(숲 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체험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각 자격증에 해당되는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

5.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사 중 산림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 취득 절차

1.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양성기관에서 교육 수료 후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실시하는 검증평가에 합격해야 합니다. 

2. 검증평가에 합격한 경우 최종학력증명서, 경력증명서 등의 서류와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 발급신청서를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 제출합니다.

3.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는 서류 검토 후 자격기준에 적합한 경우 자격증을 발급합니다. 

 

2023년 현재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기관은 전국에 17개 기관이 있습니다. 

 

<2023년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기관>

가톨릭대학교 평생교육원(1,2급) - 경기 부천

한림성심대학교 평생교육원(2급) - 강원 춘천

순천대학교 평생교육원(2급) - 전남 순천

광주보건대학교 평생교육원(2급) - 광주광역시

전남대학교 산림자원연구세터(1급) - 광주광역시

충북대학교 평생교육원(1,2급) - 충북 청주

동양대학교 평생교육원(2급) - 경북 영주

대구한의대학교 평생교육원(1,2급) - 경북 경산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1,2급) - 전북 전주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1,2급) - 서울 관악구

국민대학교 평생교육원(2급) - 서울 성북구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1,2급) - 대전 유성구

인제대학교 미래교육원(2급) - 경남 김해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1급) - 강원 춘천

경상국립대학교 임업기술교육정보센터(1급) - 경남 진주

경상국립대학교 평생교육원(2급) - 경남 진주

카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1,2급) - 강원 강릉

제주한라대학교 산학협력단(2급) - 제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