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목

천연의 자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아시나요?

by 식물탐구 2023. 4. 11.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산림에 서식하는 식물의 유전자나 종을 비롯해, 산림생태계의 보존을 위해 지정한 산림구역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417개 구역이며, 면적은 172,588헥타르(ha)에 달합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이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이란, 산림내 식물의 유전자와 종을 보호하고, 산림생태계를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 지정된 구역으로, 각 시·도지사 또는 지방산림청장이 보존의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면 지정하게 됩니다. 

다른 많은 나라들도 이러한 보호구역을 지정하여 생태계와 그 나라들의 식물들을 보호하고 있으며, 그만큼 중요한 의미가 있는 규정이며 조치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각 지자체 지정 88개, 각 지방산림청 지정 329개로 전부 417개 구역이 있으며, 그 총 면적은 172,588헥타르입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유형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지정합니다.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7가지 유형>

1. 원시림

과거 또는 현재에 인위적인 간섭이나 피해가 없는 자연 그대로의 임상으로 집단화된 구역 또는 그런 임상이 50% 이상 고르게 분포한 구역

2. 고산식물지대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식물이 집단화된 구역. 또는 그런 임상이 50% 이상 고르게 분포한 구역

3. 우리나라의 진귀한 임상

경관이 뛰어나며 희귀 수종이 다수 분포하는 임상이나 기암괴석과 어우러진 임상이 집단화된 구역 또는 그런 임상이 50% 이상 고르게 분포한 구역

4. 희귀식물 자생지

<야생동식물보호법 시행규칙>에 의한 멸종위기식물 또는 <자생식물 및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리요령>에 의한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 특산식물 목록에 수록된 식물의 종이 집단적으로 자라는 구역이거나 그런 식물이 50% 이상 고르게 분포한 구역

5. 유용식물 자생지

자생식물 중 식용이나 약용 또는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거나, 잠재적인 용도가 있는 식물이 집단적으로 생육하는 구역 또는 그런 식물이 50% 이상 고르게 분포한 구역

6. 산림습지 및 산림내 계곡천지역

<습지보전법>의 내륙습지 중 산림내 습지 및 계곡천 지역에 해당하는 구역과 그러한 지역의 보전과 보호를 위해 필요한 구역으로 동일한 능선 등 자연경계 이내의 구역

7. 자연생태보전지역

산림내 자연환경이나 동식물 등 산림생태계 보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구역

 

대한민국 주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한반도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대부분 강원도와 경상도 등 동쪽에 몰려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DMZ일원과 일반지역으로 나누어 주요지역을 살펴보겠습니다.

 

<DMZ 일원>

천불산

위치 : 강원도 철원군 / 유형 : 유용식물 자생지, 희귀식물 자생지

 

 

적근산

위치 : 강원도 화천군 / 유형 : 활엽수 원시림

 

 

주파령

위치 : 강원도 화천군 / 유형 : 자연생태보전지역, 희귀식물 자생지

 

 

백암산

위치 : 강원도 화천군 / 유형 : 진귀한 임상, 유용식물 자생지, 희귀식물 자생지

 

 

백석산

위치 : 강원도 양구군 / 유형 : 진귀한 임상

 

 

대우산

위치 : 강원도 양구군 / 유형 : 유용식물 자생지, 희귀식물 자생지

 

 

펀치볼

위치 : 강원도 양구군 / 유형 : 희귀식물 자생지, 유용식물 자생지

 

 

산머리곡산

위치 : 강원도 인제군 / 유형 : 유용식물 자생지, 희귀식물 자생지

 

 

향로봉
위치 : 강원도 고성군 / 유형 : 진귀한 임상, 희귀식물 자생지 

 

 

 

<일반지역> 

점봉산

위치 : 강원도 인제군 / 유형 : 활엽수 원시림 

계방산

위치 : 강원도 홍천군, 평창군 / 유형 : 활엽수 원시림, 진귀한 임상

대승령·마등령

위치 : 강원도 인제군 / 유형 : 희귀식물 자생지

홍천 을수골

위치 : 강원도 홍천군 / 유형 : 자연생태계보전지역

가리왕산

위치 : 강원도 정선군 / 유형 : 희귀식물 자생지

무릉계곡

위치 : 강원도 동해시 / 유형 : 희귀식물 자생지

두타산

위치 : 강원도 철원군 / 유형 : 자연생태보전지역

삼천 가곡

위치 : 강원도 삼척시 / 유형 : 희귀식물 자생지

소광리 금강송

위치 : 경북 울진군 / 유형 : 자연생태보전지역, 원시림, 진귀한 임상

봉화 반야골

위치 : 경북 봉화군 / 유형 : 자연생태보전지역

응봉산

위치 : 경북 울진군 / 유형 : 진귀한 임상

검마산

위치 : 경북 영양군 / 유형 : 자연생태보전지역

신불산

위치 : 경북 울산시 / 유형 : 원시림, 희귀식물 자생지

문경 봉암사

위치 : 경북 문경시 / 유형 : 원시림, 희귀식물 자생지

주왕산

위치 : 경북 청송군 / 유형 : 원시림

지리산

위치 : 경남 함양군 / 유형 : 희귀식물 자생지

제주 동백동산

위치 : 제주도 제주시 / 유형 : 희귀식물 자생지

숨은물뱅듸

위치 : 제주도 제주시 / 유형 : 산림습지

한반도 주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한반도 주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우리나라 산림 중 가치가 있는 곳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는 있지만, 무리한 개발과 일부 단체의 이익을 위한 규제완화 등으로 보호구역이 사라지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그로 인한 환경단체나 시민단체, 각 지자체 간의 갈등에 대한 것은 매번 뉴스에 나오는 내용들이고, 반복되는 일인만큼 앞으로의 생태보전을 위해 보다 강력한 규제와 조치가 필요합니다. 

 

 

 

 

 

 

 

 

 

 

 

 

 

 

 

  •  

 

 

'수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호수는 어떻게 지정되는 걸까요?  (0) 2023.04.09

댓글